본문 바로가기

백승휴 칼럼/사진에게 말걸기

이미지는 끌림이다. 음식은 먹고 싶어진다. by 포토테라피스트 백승휴

보면 바로 판단된다. 절차는 있지만 인식하지 못한다. 할 수도 없지만 필요도 없다. 시간차가 있다. '자 봤으니 맛을 느끼거나 감정을 느껴봐.'로 인식한다면 삶이 복잡해진다. 승질 급한 사람은 일상이 짜증난다. 인식구조가 알아서 척척해주니 얼마나 감사한 일인가. 이미지를 딱 보면 알아서 처리한다. 음식을 보면 예측한다. 경험이나 성향에 따라서 다르지만 상상한다. 이것은 마케팅이나 디자인에 활용된다. 쇼윈도우의 이미지가 호객행위를 시작한다. 두가지 이미지만이 존재한다. 끌리는 이미지와 안 끌리는 이미지!

어찌 겉절이가 김장김치의 품격을 따를 수 있겠는가? 겉절이가 애드립이라면 김장김치는 정통이다. 삶도 그렇지만, 두 음식 모두 중요하다. 붉은 색은 입맛을 돋군다. 김장 김치의 채도를 약간 높여 눈길을 끌게 한다. 동치미도 붉은 빛이다. 이건 무우가 붉은 색이자 우러난 것이다.  

괜찮은 풍경이나 사람을 보면 사진을 찍는다. 찍고 싶은 마음이 생겨서 찍는다. 음식은 먹고 싶어진다. <싶어지는>는 조건부이다. 그 과정에서 이미지가 끼어든다. 이미지를 보고 판단한다. 이미지가 주는 의미는 생각하고 판단하게 한다. 감정을 만들어 낸다. 하고 싶은 감정 말이다. 눈은 감정이나 경험에 의하여 이미지를 스스로 포장하지만 사진은 객관적이다. 냉정하다. 작가의 손질이 필요하다. 보고 느낀 감정대로 사진을 만들어야 한다. 같이 오는 듯하지만 본 다음에 감정을 느낀다. 음식의 보는 것과 찍는 것은 다르다. 자, 이 음식은 어떤가? 밥한공기 뚝딱? 연미향 강은미 대표의 음식이다. 맛의 달인, 페북에 올라오는 그녀의 음식은 항상 먹고 싶게 한다. <맛의 달인>에다가 <이미지의 달인> 하나 더 추가다.

이미지는 끌림이다. 음식은 먹고 싶어진다. by 포토테라피스트 백승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