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승휴 칼럼/Photo Essay

감정이입은 대상에게 말걸기다. 하나되기다. by 포토테라피스트 백승휴

세상의 무수한 대상들!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가? 대상과 관계맺기. 대상과의 직설화법은 사람들이나 가능하다. 그들의 몸짓과 표정이 아무리 은유적 표현이라 할지라도 직설적으로 들려온다. 다른 대상과의 형평성을 고려한다면 더욱 그렇다. 엷은 미소 하나로도 전부는 아니더라도 알아차리고 답을 주는 소통의 방식이다. 사물이라고 부르는 대상은 어떤 방법으로 소통하여야 하는가? 그건 바로 감정이입이다.

탄자니아를 여행 중이었다. 언덕 위에서 차가 멈추는 걸 보고는 한걸음에 뛰어왔다. 어디선가 다가온 아이들은 눈빛 자체만으로도 우리를 사로 잡았다. 몸짓이나 눈빛을 포함한 표정이 강력했다. 구경이든 제안이든 뭐 할 거 없이 와 닿았다. 이런 대상에게로 다가가는 건 감정이입이 아니어도 관계를 맺는다고 말하지 않아도 성큼 그 목적달성이다. 껑쭝껑쭝 동물들을 말하는 의태어가 그들에게 비유된다면, 큰 눈망울로 바라보는데 때로는 사슴의 눈빛일 수도 동그란 눈동자를 가진 동물이 떠오르기도 한다. 그 모습 속에서 의미를 부여한다는 건 얼마만큼 객관적인가? 사실일까? 아니다. 그럴 필요없다. 주관적으로 바라보고 음미하면 된다. 그것이 진정한 의미부여이다.

두장의 사진은 앙코르 와트의 사원내부이다. 시간의 흔적 속에 어떤 궤적이 보이는 듯하다. 흔적과 궤적, 시각과 시간의 원리와 같다. 딱 그 시점인지 아니면 장시간 동안 쌓인 의미인지. 자연이 헐어낸 모습과 인위적 행위를 추측하게 한다. 불상의 모습이 그려진 벽면에 흘러내린 퇴색된 질감은 삶의 무상을 떠올리게 한다. 불상의 머리가 잘려나간 사건에서 'why?'를 묻는다.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역사의 발자취를 찾아 나선다. 신전으로 건설된 곳이 단절이나 시간의 축척 속에서 무력하게 허물어진 모습을 바라본다. 시선보다 더 강한 느낌이 자리를 잡는다. 감정은 길을 떠나 상대에게로 다가선다. 감정이입이란 언어로 포장되어 대상과 동일시된다. 감정이입이란 수단을 활용한다면 무엇과도 대화가 가능하다. 안 그런가?

감정이입은 대상에게 말걸기다. 하나되기다. by 포토테라피스트 백승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