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우리 삶의 의문을 풀 수 있다. 꽃이 피고 지고, 나뭇잎이 단풍이 들면서 땅에 떨어지는 것도 의미를 가지고 있다. 만약 사람이 죽지 않는다면 삶이 그토록 소중하지도 아름답지도 않을 것이다. 걸어왔던 길에서 느끼는 후회는 너무 일찍 알고 경험하지 못하는 것보다는 좋다는 생각이다. 나에게는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다니는 자식이 있고, 칠순이 되신 부모님이 계신다. 그리고 99세이신 할머니도 생존해 계신다. 물론 그 장수의 비결을 부모님의 극진한 효심의 결과라고 생각한다.
나의 아버지가 마흔이셨을때 나는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에 들어가는 시기였다. 나의 마흔은 혼돈의 연속이었다. 물론 아버지도 그랬을 것이다. 그러나 그런 모습을 전혀 내비치지 않으셨던 아버지는 나의 대학문제로 어질병이 생겨 자리에 누우신 적이 있었다. 이유는 많은 고민때문이었다. 아버지의 뒷모습은 외로워보인다. 아마도 아버지의 문제만은 아니다. 나의 뒷모습일 수도 있고, 한 인간이 삶을 살아가면서 겪어야하는 과정일 수도 있다. 이제 아버지는 70의 노인의 길을 걸어가고 있는 것이다. 힘겨운 농사일이 아버지의 즐거움이 대상이자 삶이다. 사진에 보이는 아버지의 뒷모습은 왠지 나에게 많은 생각을 잠기게 한다.
99세의 할머니다. 항상 웃으시며 가족을 맞이하신다. 그러나 왠지 모른 고독감은 이루 말할 수 없다. 요즘은 방과 거실에서만 생활하신다. 남편과 큰 아들을 앞세우신 할머니에게 현재의 삶은 어떤 의미일까?
나의 보물들이다. 같은 색의 모자, 지친듯 찡그린 얼굴, 흙탕물이 튀긴 옷이 남매의 동질감을 느끼게 해준다. 아들은 자신들의 옷을 패션테러리스트라고 정의했다. 그들의 웃도리는 할아버지와 할머니의 허드레 의상이다. 언제 또 이런 경험을 할 꼬.
삼일의 모내기 중 한나절을 투입시켰다. 모판을 들고 다니는 일을 시켰다. 날은 덥고 젖은 장갑은 찝찝하고 자기들에게 가볍지 않은 모판은 고통 그 자체였을 것이다. 아이들의 의미도 중요하지만 나에게는 더 큰 의미가 있다. 식탁에 밥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할아버지 할머니가 어떤 일을 하고 계신지 느끼게 하고 싶었다. 한나절의 노동은 그들을 넉다운시켰다. 일을 마치고 아이들은 방에서 골아 떨어지고 말았다. 물론 익숙하지 않은 일을 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런데 아이들이 얼마나 일을 하고, 그 일이 얼마나 부모님께 도움이 될 지는 논하고 싶지 않다. 그 아이들이 종알거리며 모판을 옆에서 나르는 동안 부모님의 마음은 천국에 가 있을 것이다. 그냥 옆에만 있는 자체만으로도.
나는 바란다. 아이들이 나의 어린 시절 뛰어 놀던 그곳을 자주 접해주기를 바란다. 학원이 아이들을 붙잡아 놓을 지라도 그것을 뿌리쳐주길 바란다. 그 이상의 가치가 자연 속에서 부모와 자식간의 연결고리를 만들어 줄 것으로 확신한다. 인간은 자연에서 자연으로의 삶, 그 과정에서 서 있는 것이다. 그 과정이 힘이 되어 당당하게 서 있는 것이다. 나약하지도 강하지도 않은 인간 그 자체로 말이다.
'백승휴 칼럼 > Photo Ess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림푸스 XZ-1 사용기를 위해 방배동 커피숍을 가다. MINO 커피숍. by 포토테라피스트 백승휴 (1) | 2013.05.31 |
---|---|
작은 카메라로 일상과 대화를 나누다. by 포토테라피스트 백승휴 (0) | 2013.05.30 |
스승과의 만남, 김일상선생님을 만나다. by 포토테라피스트 백승휴 (0) | 2013.05.27 |
아버지의 일터는? by 포토테라피스트 백승휴 (1) | 2013.05.23 |
협성대학교, 문창과 특강을 가다. by 포토테라피스트 백승휴 (1) | 2013.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