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산도 식후경이라. 인간의 욕구 중에 식욕이 제일이다. 배고픈 상황에서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극단적으로 들리지만 극도의 굼주림은 모든 것을 식감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아름다운 풍경의 감상도 먹고 난 다음의 일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인간은 간사한 지라 먹기 전과 후의 상황은 달라진다. 너무 배부르면 모든 것이 귀찮아진다. 이 상황에서는 어떠한 욕구도 발동하지 않는다.
고기집의 붉은 색은 다분히 의도적이다. 파랑색이 주변을 덮고 있다면 식욕은 극격히 떨어진다. 그래서 다이어트를 위한 색깔이라고도 한다. 이 사진은 신선한 채소와 붉은 색 소스가 식탐을 자아내게 한다. 입으로 가기 전에 벌써 눈으로 해치울 지경이다. 색깔의 대비가 시선을 끄는데 성공적이다.
사진은 피사체를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서 완전히 달라진다. 스파게티의 면발이 탱글거린다. 불어터진 느낌이라면 젓가락이 가지 않을 것이다. 평면적인 사진은 빛과 위치에 따라서 만들어진다. 역으로 입체적인 질감이 입맛을 돋군다. 빛이 측광으로 들어오고 평면도가 아닌 입체적인 시선으로 바라보면 완전히 달라 보인다. 여기에 약간의 향이 코끝을 자극하노라면 벌써 입안에서 얍얍하고 있을 거다.
사물과 사람의 차이점이란? 사물은 그대로 사물의 '외형'이라고 말하지만 사람은 얼굴이라고 한다. 얼굴에는 스스로 만들어낸 역사성을 가지고 있다. '스스로'라는 말에는 주체적이란 말이고, 역사성이란 말에는 과정에서의 흔적을 보여주고 있음을 의미한다. 얼굴은 이 정도의 내공을 가지고 있지만 사물은 변화의 흔적을 보여주는 이미지일 뿐이다. 이런 차이는 단순해 보이지만 스스로 그것을 의식하는 부분에서 많은 차이가 난다.
다시 돌아가서, 먹어치운 음식을 보면 그 사람의 성품과 그 상황을 읽을 수 있다. 배고픔에 지친 이들이 짐승처럼 먹어치운 음식의 잔해를 볼 수 있다. 지금은 주위에서 식탐참여자들의 널브러진 모습이 추정된다. 무거운 몸으론 멀리 간다는 것은 엄두도 내지 못했을 것이란 의미이다. 많은 수다가 오고 갔고, 왁자지껄 웃음 소리가 가득했을 마녀들의 저녁식사란 제목을 붙인다. 뼈다귀와 휴지 쪼가리, 그리고 피자와 파스타의 남은 흔적들이 과도한 섭취를 보여준다. 식사의 중반을 넘어서면서 배고픔을 넘어 과도한 풍요 속에 소중함의 기억은 사라지고 오만함만이 남아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모든 것은 적당함, 중요에서 시작된다. 춘천주변에 산토리니라는 레스토랑은 이국적인 정취가 느껴진다.
음식, 그 먹고 난 흔적들. by 포토테라피스트 백승휴
'백승휴 칼럼 > Photo Ess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유로운 삶을 위해 고독을 즐겨라. by 포토테라피스트 백승휴 (0) | 2015.04.13 |
---|---|
사물의 모호함이 만들어 내는 사건들. by 포토테라피스트 백승휴 (0) | 2015.04.04 |
서울대 암병동에 전시하다. 소지연작가. by 포토테라피스트 백승휴 (0) | 2015.03.31 |
일과 휴식, 그 인과관계를 찍다. by 포토테라피스트 백승휴 (0) | 2015.03.29 |
낯설게 하기로의 여행. 동해바다. by 포토테라피스트 백승휴 (0) | 2015.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