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의 각도와 패턴
Portrait Light의 중요성을 제외하고는 인물사진을 말할 수 없다. 물론 포즈, 코디네이션, 카메라의 앵글도 중요하지만 조명을 따를 수는 없다. 인물사진은 제품사진과 다르다. 피사체가 움직이고 생명체이며 세월이 지나면 변화한다는 점 외에도 표정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상업사진은 촬영자의 의도와 의뢰인의 요청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지혜로운 타협이 필요하다.
조명은 역할에 따라서 그 명칭이 달라진다. 그러나 조명마다의 느낌이 다르지만 조명 중 주도적인 것이 Keylight이다. 주광(Main light)라고도 하며, 피사체를 비추는 중심이 되는 조명이다. 위치, 방향, 각도는 그림자의 형태에 따라 질감과 부피가 다양하게 표현되기 때문에 인물의 형태와 특징을 나타낸다. Keylight가 이 역할을 한다.
main light의 위치에 따른 조명:
조명의 밝은 부분은 나타내기 위함이고, 어두운 부분은 숨기기 위한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그리고 얼굴에 대한 main light의 위치에 따라서 Broad Light와 Short Light로 나뉜다. Broad Light는 메인 라이트가 인물의 보이는 귀 쪽에서 비춰진다. 얼굴이 크게 나오며 얼굴선이 부드럽게 나온다. 그래서 예민해 보일 수 있는 마른 얼굴에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Short Light는 귀가 보이는 쪽을 암부로 만들어서 얼굴이 작아 보이는 효과를 낸다. 동양인의 둥근 얼굴을 생각하면 Short Light가 자주 쓰이나 마르고 예민해 보이는 얼굴에는 Broad Light를 쓰는 것이 만족스러운 이미지를 만들어 낼 수 있다.
판단하는 방법은 보이는 면의 귀를 중심으로 빛이 귀와 같은 방향에서 비춰지면 Broad Light이고, 빛이 귀와 다른 방향에서 비춰지면 Short Light이다. 다시 말해서, 얼굴에 하이라이트 면이 많음과 적음에 따라 판단한다.
Light Pattern
1)Paramount Light인물의 정면에서 비춰지며 얼굴 높이를 기준으로 30도에서 60도 높이에서 비춰진다. 코의 높이나 인중의 길이 등을 고려하여 위치하여 촬영하는 것이 만족스러운 사진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코와 윗입술(인중) 중간에 만들어지며 그 모양이 나비 모양이라고 해서 'Butterfly 조명'이라고도 한다. 얼굴이 넓은 사람과 사각턱을 지닌 얼굴에는 적합하지 않다.
2)Loop Light조명의 수평방향은 얼굴 정면을 중심으로 하였을 때 약 15-20도 정도 옆, 수직각도는 얼굴 높이를 기준으로 했을 때 30-60도 높이에서 비칠 때가 가장 좋은 조명의 높이다. 코 그림자는 코 옆 밑으로 생기며 윗입술에 닿게 되면 보기 싫다. 좁은 얼굴이나 깊은 눈이 적당하고, 둥근 얼굴은 피하는 것이 좋다.
3)Rambrandt Light동양인의 인물사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조명이다. 45도 방향에서 비추며 조명의 반대방향에 역삼각형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역삼각형의 크기와 길이에 따라서 얼굴의 형태가 달라 보인다. 얼굴이 야윈 사람은 역삼각형의 하이라이트를 크게 하여 건강한 모습으로 표현하는 것이 좋다. 반대쪽에 생기는 역삼각형이 좁고 길면 얼굴이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4)Split Light강한 개성을 나타내고 얼굴의 질감을 강조하는 극적인 조명방법이다. 정 측면에서 비춰지며 밝은 부분이 얼굴의 1/2, 이마의 3/4정도를 차지하면 올바른 조명방법이다.
패턴은 이론적으로 극명하게 표현되지만, 촬영할 때는 패턴을 감성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교육관련 > 중앙대 인물사진컨텐츠전문가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앙대 인물사진컨텐츠과정 16기 졸전에 초대합니다. by 포토테라피스트 백승휴 (4) | 2013.01.20 |
---|---|
일본 오사카의 곤지대왕을 찾아서 프로젝트, 인물사진컨텐츠 전문가과정. by 포토테라피스트 백승휴 (0) | 2012.12.07 |
존 시스템의 종말. by 포토테라피스트 백승휴 (0) | 2012.09.27 |
빛의 원천, 태양. by 포토테라피스트 백승휴 (0) | 2012.09.20 |
언어로서의 빛, 인물사진컨텐츠 전문가과정. by 포토테라피스트 백승휴 (0) | 2012.09.18 |